올라잇 🔥 ! 정진! 🔥
안녕하세요 헬리뉘입니다.
지난주 토요일부터 추석 연휴 기간이 시작되었습니다.
연휴 기간동안 병원이나 약국 등 의료기관이 쉬는 곳이 많을텐데요.
추석연휴기간동안 운동을 하실 수 있다면 좋겠지만, 가족과 시간을 보내면서 잘 먹는것도 좋을 것 같네요!
오늘은 긴급상황에 대비하여 어떻게 대응해야할 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.
추석 연휴 동안에는 병원과 약국이 휴무일 경우가 많지만, 비상 상황을 대비해 운영하는 의료기관과 약국을 찾는 방법과 응급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. 아래에서는 병원 및 약국을 찾는 방법과 응급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겠습니다.
1. 추석 연휴 동안 운영하는 병원 및 약국 찾는 방법
1.1 응급의료포털 E-Gen(이젠) 이용하기
- 응급의료포털 사이트인 E-Gen에서는 공휴일 동안 운영하는 병원과 약국 정보를 제공합니다.
- 검색 방법: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‘휴일 병원·약국 찾기’ 메뉴를 선택하여 지역별 병원과 약국의 운영 정보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.
- 모바일 앱: 스마트폰으로는 ‘응급의료정보제공’ 앱을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앱을 통해 현재 위치 기반으로 운영 중인 병원 및 약국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.
1.2 보건복지부 콜센터(129)
- **보건복지부 콜센터(129)**를 통해 공휴일에 운영하는 병원과 약국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. 이 콜센터는 24시간 운영되며, 전화로 쉽게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.
1.3 응급상황 시 119 및 1339
-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는 즉시 119로 전화를 걸어 응급처치를 받거나, 응급상황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1339는 전국의 응급의료상담서비스로, 전화로 증상을 설명하면 가까운 응급실을 안내받거나 의료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.
1.4 각 지역 보건소의 비상 진료 안내
- 각 지역의 보건소에서도 공휴일 동안 운영하는 병원과 약국 정보를 제공하며, 보건소의 홈페이지나 전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2. 응급상황 대처법
2.1 심폐소생술(CPR)
- 심정지나 호흡곤란이 발생한 경우 **심폐소생술(CPR)**은 생명을 구하는 가장 중요한 응급처치 방법 중 하나입니다.
- 방법:
- 환자의 의식과 호흡이 없는지 확인합니다.
- 주변에 119에 신고해줄 사람을 찾고, 자동심장충격기(AED)를 요청합니다.
- 환자의 가슴 중앙에 손을 겹쳐 놓고 5~6cm 깊이로 강하게 압박합니다.
- 분당 100-120회의 속도로 압박하며, 압박과 이완을 일정하게 반복합니다.
- AED가 도착하면 지시에 따라 패드를 부착하고 기계를 작동시켜 심장 리듬을 분석하게 합니다.
- 주의사항:
- 가슴 압박을 너무 약하게 하면 효과가 없으며, 너무 깊이 누르면 갈비뼈가 손상될 수 있으니 적정 압박 깊이를 유지합니다.
- 심폐소생술 중 압박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, 피로해질 때는 교대로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.
2.2 하임리히법
- 기도에 이물질이 막혔을 때 적용하는 응급처치 방법입니다.
- 어른용 하임리히법:
- 환자 뒤에 서서 팔로 허리를 감쌉니다.
- 한 손은 주먹을 쥐고, 주먹을 환자의 명치 아래 배꼽 위쪽에 대어줍니다.
- 다른 손으로 주먹을 감싸고, 위로 강하게 밀어 올려 이물질을 배출시킵니다.
- 필요하다면 이 동작을 반복합니다.
- 소아용 하임리히법:
- 아이를 무릎에 엎드리게 하고, 등을 5회 두드려 줍니다.
-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으면 어른과 동일한 방식으로 복부 밀어 올리기를 실시합니다.
- 1세 미만의 경우에는 가슴 압박을 시행하여 이물질을 제거합니다.
2.3 화상 응급처치
- 화상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방법:
- 화상 부위를 차가운 물에 약 10~15분간 담가 열을 식힙니다.
- 옷이나 액세서리가 화상 부위에 달라붙었을 경우, 억지로 떼지 않습니다.
- 화상 부위가 넓거나 물집이 생긴 경우에는 응급실로 이동하여 전문적인 치료를 받습니다.
- 주의사항:
- 얼음을 직접 화상 부위에 대면 피부가 더 손상될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.
- 화상 부위를 깨끗하게 보호하고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깨끗한 천이나 거즈로 부위를 덮어줍니다.
2.4 골절 응급처치
- 골절 시 환자를 움직이지 않고 부목 등을 사용해 골절 부위를 고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방법:
- 환자를 최대한 움직이지 않게 하고, 부러진 뼈를 제자리에 맞추려 하지 않습니다.
- 골절 부위를 부목 등으로 고정해 움직이지 않게 합니다.
- 응급실로 이동하여 전문적인 치료를 받습니다.
2.5 코피 응급처치
- 코피가 날 때는 고개를 뒤로 젖히면 혈액이 기도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.
- 방법:
- 고개를 앞으로 숙여 코피가 밖으로 흘러나오도록 합니다.
- 콧방울을 손으로 잡고 약 10분간 눌러 지혈을 시도합니다.
- 출혈이 심하거나 지속될 경우 응급실에 가서 진료를 받습니다.
결론
추석 연휴 동안 건강 관리와 함께 응급 상황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응급의료포털이나 응급의료정보제공 앱, 129 및 1339 콜센터를 통해 연휴 중에도 운영하는 병원과 약국을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또한, 심폐소생술, 하임리히법, 화상 응급처치 등 기본적인 응급처치 방법을 숙지하여 긴급 상황에 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
'웨이트 트레이닝, 건강, 영양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하루에 물을 얼마나 먹어야 할까? (2) | 2024.10.24 |
---|---|
[치아가 빠졌을 때] 갑자기 치아가 빠지면? 상황 대처방법 (0) | 2024.10.09 |
[추석 시즌 건강관리] 5일 추석 연휴..건강 관리 주의사항, 해결책 (4) | 2024.09.14 |
[하임리히법, 기도가 막혔을 때] 음식물이 목에 막혔을 때 응급처치법 (0) | 2024.09.08 |
[낙상 사고] 낙상 사고가 암보다 더 위험한 이유 (4) | 2024.08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