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llright! 정진!
안녕하세요 헬리뉘입니다.
오랜만에 인사드리네요,,
현업에 치여서 살다보니 오랜만에 업로드합니다!
회전근개는 여러분도 잘 아실텐데요!
오늘은 회전근개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볼게요llright! 정진!
안녕하세요 헬리뉘입니다.
오랜만에 인사드리네요,,
현업에 치여서 살다보니 오랜만에 업로드합니다!
회전근개는 여러분도 잘 아실텐데요!
오늘은 회전근개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볼게요
회전근개(Rotator Cuff) 근육 완벽 가이드
1. 회전근개란?
회전근개(rotator cuff)는 어깨 관절을 안정화시키고 움직임을 돕는 4개의 작은 근육 그룹을 말한다.
이 근육들은 상완골(upper arm bone)과 견갑골(shoulder blade)을 연결하며, 어깨의 회전 및 안정성에 핵심 역할을 한다.
주요 구성 근육은 다음과 같다.
2. 회전근개의 구성 근육
1) 극상근 (Supraspinatus)
- 기시점(origin): 견갑골 극상와 (Supraspinous fossa of scapula)
- 정지점(insertion): 상완골 대결절 (Greater tubercle of humerus, superior facet)
- 주요 역할:
- 어깨 외전(abduction) 시작 단계 담당 (0°~15° 구간)
- 팔을 들어 올릴 때 삼각근(deltoid)과 협력
- 어깨 관절 안정화
- 손상 시 증상: 팔을 옆으로 들기 힘들거나 통증 발생, 특히 팔을 머리 위로 올릴 때 심해짐.
2) 극하근 (Infraspinatus)
- 기시점: 견갑골 극하와 (Infraspinous fossa of scapula)
- 정지점: 상완골 대결절 (Greater tubercle of humerus, middle facet)
- 주요 역할:
- 어깨 외회전(external rotation)
- 어깨 안정화
- 손상 시 증상: 팔을 바깥쪽으로 돌리기 어려움, 외회전 시 통증.
3) 소원근 (Teres Minor)
- 기시점: 견갑골 외측연(lateral border of scapula)
- 정지점: 상완골 대결절 (Greater tubercle of humerus, inferior facet)
- 주요 역할:
- 어깨 외회전
- 팔을 살짝 모으는 움직임(adduction) 보조
- 관절 안정화
- 손상 시 증상: 외회전 약화, 팔을 뒤로 젖힐 때 불편감.
4) 견갑하근 (Subscapularis)
- 기시점: 견갑골 견갑하와 (Subscapular fossa of scapula)
- 정지점: 상완골 소결절 (Lesser tubercle of humerus)
- 주요 역할:
- 어깨 내회전(internal rotation)
- 상완골 머리를 견갑골 관절와에 고정
- 손상 시 증상: 팔을 안쪽으로 돌리기 힘들거나, 옷을 입고 벗을 때 통증.
3. 회전근개의 주요 기능
- 어깨 관절의 동적 안정화(dynamic stabilization)
- 팔의 외전·내전·외회전·내회전 움직임 보조
- 던지기, 리프팅, 수영, 테니스, 야구 투구 등 반복적 팔 동작에 필수
4. 회전근개 부상 원인
- 과사용(overuse): 야구, 테니스, 수영, 역도 등
- 반복적인 머리 위 동작(overhead motion)
- 노화에 따른 힘줄 퇴행성 변화
- 갑작스러운 충격 또는 무리한 근력 사용
5. 회전근개 부상 예방 방법
(1) 스트레칭
- Cross-body shoulder stretch: 팔을 가슴 앞으로 당겨 어깨 후면 스트레칭
- Sleeper stretch: 옆으로 누워 팔꿈치를 90°로 굽혀 내회전 스트레칭
(2) 근력 강화 운동
- 외회전 운동 (External Rotation): 밴드나 케이블을 이용
- 내회전 운동 (Internal Rotation): 밴드나 케이블을 몸 쪽 방향으로 당김
- Scaption 운동: 30~45° 앞쪽 방향으로 팔 들어 올리기
(3) 생활 습관
- 무거운 물건을 들 때는 몸통과 가까이 유지
- 머리 위로 반복적으로 물건 올리는 동작 최소화
- 운동 전 가벼운 워밍업 필수
6. 회전근개 관련 FAQ
Q1. 회전근개 부상은 자연 치유가 가능한가?
- 경미한 경우 휴식, 물리치료, 운동 재활로 회복 가능하지만, 파열이 심하면 수술 필요.
Q2. 회전근개 강화 운동은 얼마나 자주 해야 하나?
- 주 2~3회, 가벼운 강도로 꾸준히 실시하는 것이 좋음.
Q3. 무게는 얼마나 써야 하나?
- 처음에는 0.5~1kg 또는 밴드 저항 정도로 시작해 점진적으로 증가.
7. 결론
회전근개는 작지만 어깨 건강에 핵심적인 4개의 근육으로, 평소 적절한 스트레칭과 근력 운동을 통해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. 특히 운동선수나 상지(upper limb)를 많이 쓰는 직업군은 예방적 관리가 필수적이다.
모두들 건강하고 안전하게 득근하자구요!!
'웨이트 트레이닝, 건강, 영양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보디빌딩 종목] 남자 보디빌딩 종목 종류 (2) | 2025.05.31 |
---|---|
[허리디스크] 허리디스크 조기 신호 (0) | 2025.03.08 |
노동 근육통 vs 운동 근육통 (2) | 2025.03.07 |
근육통이 생기면 근성장을 하는 걸까? (0) | 2025.03.06 |
[허리 통증] 허리가 지끈지끈, 뻐근하거나 저리다면? (0) | 2025.03.04 |